티스토리 뷰
목차
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시민이라면 이용해 볼 만한 서비스를 소개하려고 합니다. 2024년 5월에 본격 도입된 K패스는 대한민국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서비스로, 최소 20%부터 최대 53%까지 대중교통 이용료를 감면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1. 신청대상
K패스 신청대상은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된 만 19세 이상의 주민으로, 서울과 경기 전역을 포함하여 17개 시도, 210개 시군구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 까지 버스, 지하철, GTX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인은 지출금액의 20%, 청년층은 30%, 저소득층은 53%를 다음 달에 적립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.
시내버스, 광역버스, 마을버스, 도시철도, 광역철도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활용 가능하며, 참여 지차체와 카드사도 확대되어 대중교통 부담을 훨씬 줄일 수 있습니다. 카드사는 국민, 신한, 농협, BC, 우리, 하나, 현대 등 이며, 카드사 별로 이용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을 제공하니 발급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K패스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. 신청방법
K패스 신청방법은 각 카드사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K패스 카드를 발급받고, 적립 혜택을 받기 위해 홈페이지나 앱을 다운로드 받아 회원가입을 한 이후, K-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하면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받게 됩니다. 별도의 입력 없이 카드번호를 입력 후 사용하면 자동으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이 적립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.
회원가입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회원가입 화면 진입 (홈페이지 또는 앱)
-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, [유효성 체크] 클릭
- 필수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 진행
-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
- 거소사실여부 확인 불가 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1개월 이내 발급받은 주민등록등(초)본/국내 거소 사실 증명서(외국인)를 MY > 나의지자체 메뉴에 등록해주세요.
-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
3. 할인금액
K패스 할인금액은 일반 20%, 만19세에서 34세까지의 청년은 30%,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저소득층은 53%를 적립합니다. 또한 지역마다 다양한 추가 혜택과 사용 조건이 있으니 거주하는 지역의 K패스 제도를 다시 한 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.
4. 환급방법
K패스 환급은 카드사마다 일정이 다릅니다.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적립금액이 높은 순으로 지급됩니다. 지급금액을 카드사로 보내는 데는 적립월의 익월 7영업일에 카드사로 지급이 요청되며, 카드사 별 지급일과 지급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https://korea-pass.kr/info/kpass_pay.do
K-패스
K-패스 홈페이지
korea-pass.kr
최근 다자녀 혜택 등 더욱 풍성해진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 할인을 누려보시기 바랍니다.